2024.06.02 (일)

  • 구름많음속초18.3℃
  • 흐림23.2℃
  • 흐림철원19.9℃
  • 구름많음동두천24.2℃
  • 구름조금파주23.9℃
  • 흐림대관령12.5℃
  • 흐림춘천22.9℃
  • 맑음백령도22.0℃
  • 구름많음북강릉16.9℃
  • 구름많음강릉18.7℃
  • 구름많음동해18.0℃
  • 구름많음서울25.2℃
  • 구름많음인천21.1℃
  • 흐림원주23.8℃
  • 맑음울릉도16.9℃
  • 구름많음수원24.1℃
  • 흐림영월21.8℃
  • 구름많음충주24.2℃
  • 구름많음서산24.9℃
  • 구름많음울진17.9℃
  • 구름조금청주26.1℃
  • 구름많음대전25.2℃
  • 구름조금추풍령24.0℃
  • 흐림안동20.7℃
  • 구름많음상주24.5℃
  • 흐림포항18.6℃
  • 구름조금군산22.4℃
  • 흐림대구23.9℃
  • 구름많음전주23.8℃
  • 흐림울산18.9℃
  • 구름많음창원22.1℃
  • 구름많음광주24.9℃
  • 구름많음부산20.5℃
  • 구름많음통영21.7℃
  • 구름많음목포20.8℃
  • 구름많음여수22.5℃
  • 흐림흑산도21.2℃
  • 구름많음완도24.9℃
  • 구름많음고창23.7℃
  • 구름많음순천24.4℃
  • 구름조금홍성(예)24.6℃
  • 맑음23.9℃
  • 구름많음제주23.2℃
  • 구름많음고산20.5℃
  • 구름많음성산24.1℃
  • 구름많음서귀포24.6℃
  • 구름많음진주25.1℃
  • 구름조금강화20.7℃
  • 구름많음양평24.2℃
  • 구름조금이천25.7℃
  • 구름많음인제19.7℃
  • 흐림홍천21.9℃
  • 흐림태백14.7℃
  • 흐림정선군19.7℃
  • 흐림제천21.4℃
  • 구름조금보은24.7℃
  • 구름조금천안24.4℃
  • 구름조금보령22.6℃
  • 구름조금부여25.3℃
  • 구름많음금산24.3℃
  • 구름많음25.5℃
  • 구름조금부안23.4℃
  • 구름많음임실23.8℃
  • 구름많음정읍24.4℃
  • 구름많음남원25.1℃
  • 구름많음장수21.7℃
  • 구름많음고창군24.5℃
  • 구름많음영광군22.5℃
  • 구름많음김해시21.2℃
  • 구름많음순창군24.3℃
  • 구름많음북창원23.0℃
  • 구름많음양산시21.9℃
  • 구름많음보성군26.8℃
  • 구름많음강진군25.4℃
  • 구름많음장흥25.5℃
  • 구름많음해남24.2℃
  • 구름많음고흥27.2℃
  • 구름많음의령군28.0℃
  • 구름많음함양군26.2℃
  • 구름많음광양시26.1℃
  • 구름많음진도군21.5℃
  • 흐림봉화17.9℃
  • 흐림영주21.1℃
  • 구름많음문경23.2℃
  • 구름많음청송군18.9℃
  • 흐림영덕17.0℃
  • 구름많음의성24.4℃
  • 구름많음구미25.6℃
  • 구름많음영천20.2℃
  • 구름많음경주시20.7℃
  • 구름많음거창24.4℃
  • 구름많음합천27.9℃
  • 흐림밀양23.3℃
  • 구름조금산청25.7℃
  • 구름많음거제22.5℃
  • 구름많음남해23.6℃
  • 구름많음21.8℃
기상청 제공
<기고문>겨울철 화목보일러! 안전하게 사용합시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기고문>겨울철 화목보일러! 안전하게 사용합시다!

해남소방서장 최진석

최진석(서장).jpg
해남소방서장 최진석

 

겨울이 찾아오면서 따스한 실내에서의 시간이 더욱 소중해졌다. 이때 화목보일러는 따뜻한 난방을 제공하여 많은 가정에서 사랑받고 있다. 그러나 편리한 난방을 위해 안전을 무시하는 순간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르고 안전한 화목보일러 사용에 대해 알아보려한다.

 

화목보일러란 나무를 원료로 물을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나 온수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쉽게 표현하면 나무를 여러 조각으로 자르고 쪼개 땔감(화목)으로 만들어 때는 보일러의 종류 중 하나이며, 옛날 아궁이에 나무를 넣어 방을 데우던 걸 떠올리면 쉽다. 화목보일러의 종류에는 톱밥을 뭉친 펠렛을 땔감으로 쓰는 소형화된 종류뿐만 아니라 나무가 다 타면 기름이나 가스를 대신 때거나 석탄이나 쓰레기도 함께 땔 수 있는 하이브리드 모델도 존재한다.

 

특히, 화재위험 3대 겨울용품(전기히터장판, 전기열선, 화목보일러) 중의 하나에 해당되기도 하며, 고유가 시대에 저렴한 연료인 목재를 사용하여 서민들에게 많은 각광을 받아 사용 중인 가구도 점차 늘고 있는 상황이다.

 

화목보일러의 화재위험 요인으로는 먼저 온도조절 안전장치가 없는 보일러에 한꺼번에 너무 많은 연료 투입하게 되면 과열에 의한 복사열에 의해 주변 가연물에 착화하게 된다.

 

두 번째로는 연료 투입구, 연통 또는 굴뚝 끝에서도 불티가 비산되어 주변의 땔나무, 지붕 등의 가연물에 착화되거나 타고 남은 재가 방치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 경우 주변 가연물에 착화된다.

 

세 번째로는 연소 중에 발생된 재와 잔액(타르)이 연통내부에 증식하여 생성된 퇴적물이 숯처럼 작용하게 되는데 이는 연통의 온도를 300이상 과열시켜 주변 가연물에 착화하게 만든다.

 

마지막 네 번째로는 보일러의 각종 장치 전기배선 합선 또는 기계적 고장 등에 의한 요인으로 착화되는 등 이외에도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이러한 위험요인을 줄이기 위해 화목보일러의 올바른 사용 및 관리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올바른 사용 방법 첫 번째는 가연물과 보일러는 2M 이상 떨어진 장소에 보관하고, 보일러 설치 장소는 건축물 외벽과 1M 이상 이격시켜야 한다.

 

두 번째는 보일러실 인근에는 소화기를 비치하고, 지정된 연료만 사용하며 연료를 한꺼번에 많이 넣지 않아야 된다.

 

세 번째는 젖은 나무 사용 시에는 투입구 안을 3~4일에 1번 정도는 청소를 하고, 연통 청소는 3개월에 한 번씩 해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나무연료 투입 후 투입구를 꼭 닫아야 하며, 투입구 개폐 시 화상에 주의하여야 한다.

 

화목보일러는 따뜻한 겨울을 보내기 위한 필수 겨울 용품 중 하나이나 안전한 난방을 위해서는 사용자 스스로가 책임져야 한다. 안전한 사용 습관을 기르고, 제품의 안전 규격을 준수하는 것은 가정의 안전뿐만 아니라 소중한 생명까지 지킬 수 있는 방법이다. 모두 따뜻한 겨울을 안전하게 보낼 수 있길바란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